계량심리학이란?
- 계량심리학(Quantitative Psychology)은 인간의 지능, 성격, 동기와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수학적·통계적 방법을 통해 이들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심리 현상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계량심리학은 크게 심리측정(Psychometrics)과 심리통계(Statistical Methods)의 두 축으로 나뉘며, 심리학 전반의 연구 기반을 이루는 핵심 분야입니다.
계량심리학의 소개
- 계량심리학은 심리학적 데이터의 수집, 분석, 해석을 위한 정교한 통계 기법과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심리학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고, 심리 이론을 검증하며, 나아가 미래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계량심리학은 심리학 전 분야의 학문적 성장을 뒷받침하는 토대이자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계량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탐구심과 논리적 사고력, 그리고 데이터 분석에 대한 흥미가 필요합니다. 학부 과정에서 심리통계, 심리측정 및 검사와 같은 과목에 매력을 느꼈다면 계량심리학 전공은 본인의 적성과 잘 맞을 가능성이 큽니다.
※ 본 전공의 대학원 진학에 관심이 있는 학부생들은 최소한 기초심리통계 및 심리연구방법 등의 강의를 수강하기를 권장합니다.
관심연구주제
본교 심리학과의 계량심리학 전공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구조방정식(SEM) 모형의 개발, 적용 및 확장
매개(mediation) 및 조절(moderation)모형
성장모형(growth modeling)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
혼합모형(mixture modeling)
- 관찰자료의 특성이 통계분석에 미치는 영향 탐색
범주형 자료(categorical data)
비정규 자료(nonnormal data)
결측 자료(missing data)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척도화(scaling)
측정 불변성(measurement invariance)
각종 인지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위한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출판된 논문의 일부
- 김민주, 유소현, 김수영(2025). Power method를 기반으로 한 비정규 자료 생성 절차: R의 lavaan 패키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44(1), 25-49
- 송민경, 김수영(2025). 잠재계층분석 및 잠재프로파일분석에서 지역독립성 가정의 이해와 가정 위배 시 탐지 모형화 방법. 한국심리학회지:일반, 44(2), 103-132.
- 김홍인, 김수영(2025). 빈도자료 분석을 위한 다양한 일반화 선형회귀 접극법. 사회과학연구, 64(1), 129-161.
- Lim, K., & Kim, S.-Y.* (2024). Scaling and estimation of latent growth models with categorical indicator variables. Psychological Methods, online, 1-19.
- Lee, J., Kim, S.-Y., & Lee, K. (2024).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ve symptoms and treatment burde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ultimorbid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multi-group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6(4), 1-9.
- 김수영(2024). 회귀분석: SPSS 및 PROCESS 예제와 함께. 학지사.
- 유소현, 김수영(2024).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반적인 평가 및 효과크기와 연속성에 대한 숙고. 한국심리학회지:일반, 43(3), 199-230.
- 김수영(2024). 모든 부분집합 회기분석의 이해: SPSS의 자동선형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3(1), 121-145.
- Kim, O., Kim, B., Kim, S.-Y., Cho, E., Lee, H., Cha, C., Bae, N., Kim, M., Lee, D., Chavarro, J., Park, H., & Kim, S. (2023). Comparis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from two cohorts of nurses: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and the nurses' health study 3.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80(4), 209-217.
- Li, X., Clarke, N., Kim, S.-Y., Ray, A. E., Walters, S. T., & Mun, E.-Y. (2022).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Are More Helpful for Avoiding Alcohol-related Problems for College Drinkers Who Drink Less. Journal of Americal College Health.
- Sim, M., Kim, S.-Y., & Suh, Y., (2022).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simple and complex mediation model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82(1), 76-106.
- Kim, O., Kim, S.-Y., Kim, S.-S., Dan, H., Kim, B., Kim, M., & Pang, Y., (2021).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and their relation to body mass index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92, 114-120.
- Jeon, M. & Kim, S.-Y.* (2021). Performance of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 under partial longitudinal measurement invariance: A comparison of two scaling approach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8, 261-277.
졸업 후 진로
- 국가 연구기관
- 교육 및 심리학 관련 연구소
- 심리검사제작 회사
- Research회사 및 마케팅/광고회사
- 기업 연구부
- 게임 회사
연구실
- 심리측정검사실(포560): 각종 심리검사와 심리측정 연구 및 자료 분석 실시
통계분석 의뢰
안녕하세요. 이화여대 심리측정연구실입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선생님들의 연구를 위한 논문컨설팅 및 통계분석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계분석 의뢰 또는 컨설팅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메일 주소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ewhameasurestat@gmail.com
자세한 사항은 아래 안내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이화여자대학교 심리측정연구실 논문컨설팅 및 통계분석 의뢰 안내문>